Bontaro Dokuyama: Public archive

 

Bontaro Dokuyama:Public archive

 

30 June – 14 July 2018

 

Date: 30 June – 14 July 2018
Opening hours: Mon and Thu – Sat. 12:00 – 19:00/ Sun. 12:00 – 18:00
Closed on Tue, Wed and Public holiday

Opening party: 30 June 19:00-21:00
Talk show: 8 July 17:00-
Guests:Ryuta Ushiro (Chim↑Pom) / Sekai Kozuma (writer / curator)

 

Installation view, Bontaro Dokuyama  From “Public archive”

 

Aoyama Meguro is pleased to announce the latest exhibition of new work by DOKUYAMA Bontaro, born in Fukushima Prefecture, Japan, in 1984.

His new project is based on the idea of non-commercial reproduction in public art with the hope it will be more widely received by the general public.

For this reason, Dokuyama created scan data from public sculptures in Seoul, South Korea, and distributed them for free in the attempt to raise awareness through the means of social media.

It will be impossible to unlock the future without confronting the past, how things really were, and the way the past has been recorded, if at all.

There is no questioning fact or hiding from reality. This is the world we live in.

We sincerely look forward to each and everyone taking part in Dokuyama’s new project, irrespective of age, ethnicity, or belief.



translator: Rina Miyake, Stuart Munro
Cooperation: Aozora Mimi

 

—————————–


이번
본타로 도쿠야마 (b.1984/ fukushima) 최신 프로젝트를 Aoyama Meguro 에서의 개인전으로 개최하므로 안내드립니다.

계획에서 도쿠야마는 퍼블릭 아트 (공공 조각) 모두 상용이 아니면, 그것을 기반으로 복제가 가능(즉 더 많은 사람들에게 인지받기위해) 하다는 특성에 주목했습니다.

이번 도쿠야마는 서울시에 설치되어있는 공공 조각에서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무료로 배포하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대중에게 개방 할수가 있는지를 시도합니다.

과거가 어떠했는지 마주 보며, 과거가 지금현재 어떻게 기록되어 있는지 (없었던 일이되어 있는지) 마주 보고, 그것을 극복해갈수없이는 미래가 열릴리가 없을 것입니다.

이것이 우리가 겪고 세계이며, 속일수가 없는 사실이며, 감출 수없는 현실이기 때문입니다.

기획에 모든 세대와 인종, 신념을 가지는 누구나 참가하시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

 

Public archive

 

In the winter of 2017, I discovered a tent covered by a transparent vinyl sheet which seemed to have been placed illegally in front of the Japanese Embassy in the city of Seoul.

In the tent, there was a college aged female and a teenage boy. The woman sat eating her lunch and I noticed that the boy had a speech impediment. The tent seemed vaguely familiar. After speaking to them for a few minutes, they invited me in. They explained to me that they were guarding “The Statue of Peace” (Ianfu-zō), twenty-four hours a day.

A demonstration demanding Japan to redress the comfort women problems called “The Wednesday Demonstration” started in 1992 in front of the Embassy of Japan in Seoul. “The Statue of Peace” was erected to honor the comfort women on the 1,000th “Wednesday Demonstration”. In 1991, a woman who was a victim during the war, publicly denounced the Japanese government for how it had been handling the “Comfort women issue”. To this day, with her supporters, she is still requesting the Japanese government for an official apology and reparations.

A settlement claims agreement between Japan and the Republic of Korea had been reached in 1965 but did not include any mentions of Korean comfort women. In addition, because of certain traditional Korean customs and societal implications many former comfort women found it extremely difficult to come forward and provide evidence and testimonies of their experiences. Because of the new evidence that came to light after the agreement, the Korean government has claimed that the comfort women issue is still unresolved. This conflict continues today.

In December 2011, a Korean civil group reignited the conflict by illegally installing “The Statue of Peace” in front of the Japanese embassy in Seoul. The Japanese government claimed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statue violated South Korea’s treaty obligations under Article 22 of the Vienna Conventions (1) which both countries have ratified.

This situation led the Japanese government to readdress the original 1965 settlement. Yet in 2017, the Korean government officially declared not to implement the revised settlement due to a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Six years after its first installation, “The Statue of Peace” was recognized as “Public Statue No.1” (2) in Jongno-gu (district of Seoul). The statue received legal protection despite the Japanese government’s request to have it removed. The statue was certified as public art and as a permanent fixture in the ward. This in turn has made the removal or demolition of “The Statue of Peace” quite difficult.

The main issue for the Japanese government has not been what the statue implies but its placement in front of its embassy. This situation has inspired various Korean communities starting in Seoul to San Francisco and around the world to erect its own version of the statue.

The initial plan of the Korean civil group was to install a memorial stone. When this was strongly oppos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the civil group responded by erecting a statue of a young girl instead. This was done to blur the true message behind the installation. This change in plan was suggested by the creator of the statue who argued that it would emphasize the seriousness of the matter.

*Excerpt from an article.

In the article the creator says “We can demand that Japan make a stronger apologize and express regret.”

Retrieved December 19, 2016, from http://www.news-postseven.com/archives/20161219_474117.html

*Excerpt from an article.

Here the creator says “We made the statue of a young girl to express our deep and hidden grudge against Japanese atrocities.”

Retrieved March 25, 2013, from http://japanese.donga.com/List/3/all/27/420842/1

The artist who made this statue of a girl as an expression of peace has been used by civil rights group as a tool for campaigning, while the Korean media has covered these activities on a daily basis. Each time, it has inspired others to follow in their footsteps and led to complications in relationships between Japan and Korea. This statue has far surpassed the expectations of its original idea of creation. What in the world is the power contained within “The Statue of Peace” that is beyond the realm of art itself?

This exhibition shows on the various problems facing the statue such as placement, permanency, reproduction and promotion of original art and its copyright. The exhibition also focuses on statues as records of historical events. The goal of the exhibition is to record this real situation through eyewitness testimonies and anecdotes. In today’s world full of misinformation and censorship, it is essential to capture the truth and atmosphere surrounding ‘the present day’, things that cannot be simply communicated through a process of mechanical reproduction like photography.

(1)
VIENNA CONVENTION ARTICLE 22
The receiving state is under a special duty to take all appropriate steps to protect the premises of the mission against any intrusion or damage and to prevent any disturbance of the peace of the mission or impairment of its dignity.

(2)
Retrieved September 28, 2017, from http://japanese.yonhapnews.co.kr/relation/2017/09/28/0400000000AJP20170928001100882.HTML

 

—————————–

 

Public archive

 

2017년 겨울. 서울의 일본 대사관 앞에는 기둥에 투명 비닐을 씌운만의 불법 텐트가 세워져 있었다.

어디선가 들어 본듯한 텐트속에는 바로 점심을 먹으려고했던 휴학중인 여대생과 발음 연습 나쁜 남자 고등학생이 앉아 있었다. 말을 걸어보면 천천히 밖에 나와 잠시 이야기를 한 후 텐트에 맞아 주었다. 그들은 24시간 [평화의 소녀상 (평화비)]을 지키고 있다고 한다.

1992년부터 일본대사관 앞에서는 ‘수요집회’라고 불리는 ‘일본군 위안부문제 해결운동’이 매주 수요일에 열려 제 1000차 기념으로 이 동상은 설치되였다. 1991년 한 여성이 전쟁중 일본군의 위안부 피해자였다고 처음으로 고백함으로 이른바 ‘위안부 문제’는 시작되여 현재도 피해자 할머니들은 지원자와 함께 공식 사죄와 법적인 보증요구를 일본정부에 호소하고있다.

1965년 한일기본조약과 그에 따른 한일청구권협정에 의해 과거의 조약과 협정은 무효이고 전중문제는 완전하고 최종적인 해결이 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위안부에 관한 서술은 문서에는 하나도 없고, 자료나 증거가 되는 증언·기록이 착종한것, 또한 가부장제의 한국의 오랜 풍습때문에 당사자의 고백이 조약이후에 되어 버린것 등, 여러 이유때문에  한국정부가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지금도 분쟁이 계속되고있다.

2011년 12월 일본 대사관 앞에서 첫 소녀상 설치를 받아 일본정부는 재차 위안부문제 해결을 위한 한일합의를 주고 받았다. 그러나 2017년 한일협정에 대한 서로의 해석의 차이부터 한국정부는 합의를 인정하면서 이를 무시하고 이행하지 않을 방침을 세웠다.

한편, 한일협정에 불씨가 된 소녀상을 불법설치한 한국의 시민단체는 “전쟁의 아픔과 위안부 문제를 기억하고 평화를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있다” 고 설치의 정당성을 주장하고있다. 하지만 일본정부가 문제시하는것은 일본대사관 앞에 설치한 사실. 이것은 비엔나 협약 제22조 제2항 ※1 에 저촉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일본에 대한 메시지로 받고 한국정부에 즉시철거를 신청하고있다.

첫 동상 설치부터 6년이 지난 2017년, 철거를 요구하는 일본정부의 생각과는 달리 소녀상은 2017년 서울시 종로구의 [공공 조형물 제1호] ※ 2에 인증되었다. 처음은 불법 설치라고 말들은 동상은 종로구가 보증한 공공조형물 (공공 아트)로 철거가 어려운 종로구의 영구컬렉션이 된것이다.

설치 장소를 문제시하는 일본정부. 또한 그 반응에 응답할듯 서울에서 시작된 소녀상 설치는 아메리카 샌프란시스코까지 퍼졌다.

서울시에서의 첫 소녀상 설치전에 구상은 동상이 아니라 돌에 문자를 새긴 비석을 예정했다고 한다. 그러나 일본정부의 압력에 의해 비석의 설치가 어렵게 되었다. 그래서 작가는 시민단체에 비석이 아니라 더욱 위안부의 피해를 강조할수 있는 조각상을 만드는게 어떨까?고 제안했다. (이하 작가의 인터뷰를 발췌) “그러면 일본에 사죄와 반성을 강하게 요구할수 있다 ‘ ※ 3 ‘소녀상은 수십년간 가슴속에 숨기고 있던 분노를 꺼내여 일본의 만행을 비난하던 위안부 피해자의 용기를 존중한다는 의도로 만들었다 ” ※4

시민단체를 위해 평화(를 위한)의 소녀상을 제작하는 아티스트. 또한 그 상을 사회활동을 위해 이용하는 시민단체. 그리고 그것을 매일 방송하는 미디어. 또한 동상설치 때마다 좌고우면하는 한일 양국 정부. 예술의 영역을 초월하는 힘을 가진 동상 [평화의 소녀상] 그 파워는 도대체 무엇인가.

그래서 본 전람회는 [평화의 소녀상]을 둘러싼 문제들 (설치 장소의 문제, 영구설치된 동상의 영구성과 유일성, 복제와 다양한 버전에 따라 증식되는 동상, 공공의 저작물)과 기념비 (동상)의 기록을 위한 기능에 착안하여, 조작과 은폐를 반복하는 시대에 더 리얼리티 있는 ‘사실’을 기록하기 위해 객관성이 유지된 목격자와 증언자들과 함께 “지금”시대의 아우라를 기록하고 싶다.

※ 1 “비엔나 협약 제22조 제2항” 접수국은, 어떠한 침입이나 손해에 대하여도 공관지역을 보호하며, 공관의 안녕을 교란시키거나 품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든 적절한 조치를 취할 특별한 의무를 가진다.

※2「일본 대사관 앞 소녀상을 “공공조형물”지정 철거곤난」-Yanhap News http://japanese.yonhapnews.co.kr/relation/2017/09/28/0400000000AJP20170928001100882.HTML (참조 날짜:2107.09.28)

※3「위안부 “소녀상”을 계속 만드는 부부의 의도와 그 협력자
-News 포스트 세븐 (참조 날짜:2016.12.19 ) https://www.news-postseven.com/archives/20161219_474117.html?PAGE=2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에 숨은 비밀 」-OhmyNews(참조 날짜:2016.11.07)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256936&CMPT _CD=SEARCH

※4 ”고양 시청에도 일본군 위안부 소녀상 설치”- 동아일보 (참조 날짜:2013.03.25) http://japanese.donga.com/List/3/all/27/420842/1